본문 바로가기

뇌과학22

뇌 과학 | 흥분성뉴런의 정의, 기능 그리고 이상시 몸의 반응에 대해서 알아보자 흥분성 뉴런은 우리 몸의 다양한 신경활동을 발생시키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좀 더 자세히 살펴보기 위해 정의, 기능 그리고 흥분성뉴런의 이상시 몸의 반응에 대해서 상세히 알아보겠습니다. 흥분성뉴런 이란? 시냅스 전위(synaptic potential)의 변화에 반응하여 신경 활동을 발생시키는 뉴런입니다. 즉, 다른 뉴런에서 입력신호가 들어올 때, 그 입력신호의 세기에 따라 흥분성 뉴런은 활성화되어 전기 신호를 생성하고 전기적 신호를 다른 뉴런으로 전달합니다. 흥분성 뉴런은 시냅스에 있는 수상돌기 부분에 여러 개의 수상돌기 가지(branched dendrites)를 가지고 있으며, 이를 통해 다른 뉴런으로부터 오는 입력신호를 받아들일 수 있습니다. 이 입력신호는 시냅스에서 전달되는 화학신호인 뉴로트랜스미.. 2023. 4. 17.
뇌 과학 | NMDA 수용체(receptor)의 정의, 부족시 나타나는 증상, 연구진행과정에 대해 알아보자 NMDA는 중추신경계에서 신호 전달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수용체 중 하나로, 긍정적인 신호를 전달하는 역할을 합니다. 그중 NMDA 수용체가 뇌과학 분야에서 중요한 물질로, 역할과 부족시 나타나는 증상 그리고 현재까지 연구진행과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NMDA 수용체란? NMDA 수용체는 중요한 신경전달물질인 글루타메이트가 결합하여 활성화되는 이온 채널입니다. 이 채널은 뇌에서 기억, 학습, 감각처리 및 신경 발생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NMDA 수용체는 글루타메이트와 달리, 다른 뉴로트랜스미터와의 결합과정에서는 비활성화됩니다. 이를 위해서는 NMDA 수용체의 결합부에 있는 마그네슘 이온이 제거되어야 합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신경세포의 막전위가 충분히 높아져야 마그네슘 이온이 제거될 수 있습.. 2023. 4. 17.
뇌 과학 | 후성유전학(Epigenetics)의 정의, DNA메틸화, 연구역사 그리고 저명한 연구학자에 대해 알아보기 뇌과학 중 후성유전학에 대해 공부하겠습니다. 후성유전학의 정의 그리고 후성유전학의 메커니즘인 DNA메틸화에 대해 먼저 알아보고, 후성연구학의 역사 마지막으로 가장 저명한 연구학자에 대해서도 소개하겠습니다. 후성유전학 (Epigenetics) 이란? 후성유전학(영어: Epigenetics)은 유전체의 발현과 기능을 제어하는 메커니즘을 다루는 분야로, 유전자의 DNA 염기서열 이외의 환경적인 조절과 수정에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후성유전학적 메커니즘은 DNA 서열 그 자체가 아니라, DNA 주위의 화학적 수정, 유전자 발현을 제어하는 단백질과 RNA 분자, 신호전달체 등의 다양한 요소와 조절체계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후성유전학적 조절은 환경적 요인에 따라 유전자의 발현을 증감시켜서 형질전환 및 질병 발생.. 2023. 4. 16.
뇌 과학 | 가바(GABA)란? 가바 (GABA) 란? 감마-아미노뷰티르산(Gamma-Aminobutyric Acid, GABA)은 중추신경계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발견되는 억제성 신경전달물질 중 하나입니다. GABA는 신경세포 간의 신호전달과 균형을 유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GABA는 긴장과 불안을 완화시키고, 뇌 활동을 억제하는 역할을 합니다. GABA는 신경전달물질의 하나로서 신경세포에서 합성되어 시냅스를 통해 다른 신경세포로 전달됩니다. GABA는 전기적 자극이나 화학적 자극으로 인해 발생하는 신호를 받아들이고, 이를 억제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러한 억제 작용으로 GABA는 뇌에서 긴장과 불안을 완화시키는 역할을 하며, 뇌의 활동을 조절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GABA는 대표적으로 신경전달물질인 글루타메이트(Glutamat.. 2023. 4. 12.
뇌과학 | 아세틸콜린(Acetylcholine) 이란? 뇌과학의 아세틸콜린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아세틸콜린(Acetylcholine) 이란? 아세틸콜린은 뇌와 신체의 다양한 기능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신경 전달 물질입니다. 이것은 신경 세포 사이의 신호 전달에 관여하며 움직임, 기억, 학습 및 주의력을 포함한 많은 중요한 프로세스를 담당합니다. 아세틸콜린은 뇌의 뉴런에서 생산되며 시냅스로 방출되어 시냅스 후 뉴런의 아세틸콜린 수용체에 결합합니다. 이 결합은 수용체의 위치에 따라 다양한 효과를 가져온다. 말초 신경계에서 아세틸콜린은 근육 운동 조절에 관여합니다. 그것은 운동 뉴런에 의해 방출되고 골격근 세포의 수용체에 결합하여 수축을 일으킵니다. 중추신경계에서 아세틸콜린은 기억력, 학습력, 주의력 등 다양한 인지 기능에 관여합니다. 기억의 형성과 인출에 관여.. 2023. 4. 10.
뇌과학 | 도파민 (Dopamine)이란? 뇌과학 용어 중 가장 놀리 알려져 있는 용어죠! 도파민에 대해 설명해드릴게요. 도파민 (Dopamine)이란? 도파민은 움직임, 동기 부여, 보상 및 즐거움을 포함하여 뇌의 다양한 기능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신경 전달 물질입니다. 그것은 흑색질과 복부 피개 영역을 포함하여 뇌의 여러 영역에서 생성됩니다. 도파민은 뇌에서 신경 세포 사이에 신호를 전달하는 화학 메신저 역할을 합니다. 도파민이 시냅스로 방출되면 시냅스 후 뉴런의 도파민 수용체와 결합하여 수용체의 위치에 따라 다양한 효과를 일으킵니다. 도파민의 주요 기능 중 하나는 움직임을 조절하는 것입니다. 흑색질의 도파민 결핍은 파킨슨병과 관련이 있으며, 파킨슨병은 떨림, 경직 및 움직임의 어려움을 특징으로 합니다. 도파민은 또한 동기 부여와 보상에 중.. 2023. 4. 10.
뇌과학 | 세로토닌(Serotonin) 이란? 뇌과학에 대해 유용한 이야기를 전해드려요. 오늘은 세로토닌에 대해 알아볼게요! 세로토닌(Serotonin) 이란? 세로토닌은 기분, 식욕, 수면 및 기타 신체 기능을 조절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신경 전달 물질입니다. 그것은 뇌와 내장 및 혈소판과 같은 신체의 여러 부분에서 생성됩니다. 뇌에서 세로토닌은 뇌간의 솔기 핵에 위치한 뉴런에 의해 합성되며 기분, 불안 및 공격성의 조절에 관여합니다. 또한 세로토닌 수치가 낮으면 배고픔 증가 및 과식과 관련되어 식욕 조절에도 관여합니다. 또한 세로토닌은 수면-각성 주기를 조절하고 통증 인식을 조절하는 역할을 합니다. 세로토닌은 뉴런 표면에 위치한 특정 수용체에 결합하여 기능하며, 이는 궁극적으로 다양한 생리학적 및 심리적 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일련의 세포 사.. 2023. 4. 10.
뇌과학 | 편도체(Amygdala)이란? 뇌과학 용어 중 자주 접해본 단어일 텐데요! 바로 편도체에 대해 알아볼게요. 편도체(Amygdala)이란? 편도체는 아몬드 모양의 구조로 뇌의 측두엽 깊숙이 위치합니다. 그것은 감정과 기억을 조절하는 변연계의 중요한 부분입니다. 편도체는 감정, 특히 두려움과 불안을 처리하고 조절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그것은 또한 감정적 기억의 형성과 인출, 사회적 행동과 의사 결정의 조정에도 관여합니다. 연구에 따르면 편도체는 전두엽 피질과 해마를 포함하여 뇌의 다른 부분과 고도로 상호 연결되어 있습니다. 이 연결 네트워크는 효과적인 의사 결정 및 적응 행동에 중요한 인지 및 감각 정보와 감정 정보의 통합을 허용합니다. 편도체의 기능 장애는 불안 장애, 우울증,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를 포함한 다양한.. 2023. 4. 10.
뇌과학 | 대뇌 피질(Cerebral cortex)이란? 뇌과학을 아는 재밌는 시간, 이번에 대뇌피질에 대해 알려드릴게요. 대뇌 피질(Cerebral cortex)이란? 대뇌 피질은 뇌의 외층으로 약 2-4mm 두께의 접힌 회백질로 구성됩니다. 뇌량(corpus callosum)이라고 하는 신경 섬유 다발로 연결된 왼쪽과 오른쪽의 두 반구로 나뉩니다. 대뇌 피질은 감각 인식, 운동 제어, 언어 및 의사 결정, 계획 및 문제 해결과 같은 고등 인지 프로세스를 포함한 광범위한 기능을 담당합니다. 대뇌 피질은 전두엽, 두정엽, 측두엽 및 후두엽의 네 가지 주요 엽으로 나뉩니다. 각 엽은 서로 다른 기능을 담당하지만 그 사이에는 상당한 중복이 있습니다. 1) 전두엽: 전두엽은 뇌의 앞쪽에 위치하며 자발적인 움직임, 의사 결정, 문제 해결, 계획 및 사회적 행동을 포함.. 2023. 4. 9.
뇌과학 | 변연체(Limbic system)이란? 뇌과학 시간입니다. 이번엔 변연체에 대해 자세히 알려드릴게요. 변연체(Limbic system)이란? 변연계는 감정, 동기 부여, 행동 및 기억을 포함한 다양한 기능을 담당하는 뇌 구조의 복잡한 네트워크입니다. 그것은 종종 "감정적 뇌"라고 불리며 대뇌 피질과 뇌간 사이의 뇌의 중앙 부분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변연계는 해마, 편도체, 시상하부, 시상, 기저핵 및 대상회를 포함한 여러 구조로 구성됩니다. 이러한 각 구조는 시스템의 전반적인 기능에서 고유한 역할을 하며 함께 작동하여 신체의 많은 내부 프로세스를 조절합니다. 변연계의 가장 중요한 기능 중 하나는 감정 조절입니다. 예를 들어, 편도체는 두려움, 분노, 즐거움과 같은 감정적 자극을 처리하고 해석하는 역할을 합니다. 그것은 또한 감정적 기억의 형성.. 2023. 4. 9.
뇌과학 | 전두엽피질(Prefrontalcortex)이란? 전두엽피질(Prefrontalcortex)이란? 전두엽피질은 인간 뇌에서 가장 큰 부위 중 하나로, 머리의 앞쪽에 위치합니다. 이 부위는 인간의 다양한 인지 능력과 관련이 있으며, 인간의 행동, 인지, 사고, 감정, 사회적 상호작용 등을 조절합니다. 전두엽피질은 광범위한 뇌 영역으로, 다양한 서브지역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이 중 가장 중요한 지역 중 하나는 전두엽피질의 전방부인 전두근육피질입니다. 전두근육피질은 우리가 의식적으로 조절하는 근육 활동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 지역은 우리가 자발적으로 움직일 수 있는 근육, 즉 손, 팔, 다리, 얼굴 등을 조절합니다. 또한 전두엽피질의 상부 부분은 인지 능력과 관련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이 지역은 인지적 유연성, 문제 해결 능력, 작업 기억 등과 관련.. 2023. 4. 7.
뇌과학 | 해마(Hippocampus)란? 뇌과학 이야기 중 해마에 대해 알려드릴게요. 해마(Hippocampus) 란? 해마(Hippocampus)는 중요한 뇌 구조물 중 하나입니다. 뇌의 대체로 가운데 위치하며 양쪽 뇌반구에 하나씩 있습니다. 해마는 기억과 학습과 관련된 많은 뇌 기능을 조절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러한 기능 때문에 해마는 일상생활에 굉장히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해마는 뇌의 신경세포인 뉴런이 뭉치게 되어 있는 체적형 구조물입니다. 뉴런은 해마 내에서 전기적으로 신호를 주고받으며, 이를 통해 인지능력과 기억을 조절합니다. 뇌의 다른 부분과 마찬가지로 해마는 뇌 신경망의 일부분으로서, 이곳에서 활성화되는 뉴런들은 기억과 학습과 관련된 신호를 전달합니다. 해마는 중요한 기억 과정의 여러 단계에서 역할을 합니다. 우선, 정보.. 2023. 4. 7.
뇌과학 | 신경발생(Neurogenesis) 이란? 신경발생(Neurogenesis) 이란? 신경발생(Neurogenesis)는 뇌에서 새로운 신경세포 혹은 뉴런을 생성하는 과정을 의미합니다. 이는 뇌가 소멸하거나 손상되었을 때 재생 및 치료에도 도움이 됩니다. 과학자들은 오랜 시간 동안 뇌가 새로운 뉴런을 생성하는 능력이 없다고 생각했습니다. 하지만 1960년대 말부터 많은 연구들이 이러한 뇌 세포 생성 현상을 밝혀냈습니다. 특히, 쥐와 같은 동물들에서는 히포캄퍼스라는 뇌 부위에서 새로운 뉴런들이 생성되는 것이 확인되었습니다. 신경발생(Neurogenesis)이 되는 방법은? 신경발생(Neurogenesis)는 대개 두 가지 방법으로 이루어집니다. 첫째, 뉴런 전구세포는 성인의 뇌에서 생성되고, 그 후에 히포캄퍼스와 같은 특정 뇌 지역으로 이동합니다. .. 2023. 4. 7.
초등학생도 알기 쉬운 뇌과학 | 뇌가소성(Plasticity)이란? 요즘 뇌과학에 대해 많이들 관심 갖고 있으실 것 같아요. 뇌과학이야기 속에서 뇌가소성에 대한 단어가 자주 언급되는데 자세히 알아볼게요. 뇌가소성(Plasticity)이란? 뇌가소성(Plasticity)은 뇌가 경험과 학습을 통해 구조와 기능을 조정하고 변경할 수 있는 능력을 말합니다. 이는 뇌가 고유한 능력을 갖추어 미래에 발생할 수 있는 신경 손상에 대처하거나 환경 변화에 적응하는 데 도움을 주는 중요한 기능입니다. 뇌가소성은 뇌가 인간의 발달, 학습, 기억, 인지, 감각 및 운동 기능 등을 제어하는 데 필수적인 역할을 합니다. 뇌가소성은 뇌의 구조와 기능이 상호작용하는 데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요소에 의해 조절됩니다. 뇌의 구조에는 신경세포인 뉴런과 이들 간의 연결을 형성하는 시냅스가 포함됩니다. 이.. 2023. 4. 7.
초등학생도 알기 쉬운 뇌과학 | 아교세포(Glial cell)이란? 아교세포 (Glial cell)이란? Glial cell 또는 신경교세포는 중추신경계와 주변신경계를 구성하는 세포 중 하나로, 뇌와 척수를 지지하고 보호하는 역할을 합니다. Glial cell은 뉴런(neuron)과 함께 중추신경계를 이루는 뇌와 척수 내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다양한 기능을 수행합니다. 뉴런과 달리 glial cell은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지는 않지만, 그들의 기능은 중추신경계의 건강과 기능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신경교세포는 크게 세 가지 종류로 나눌 수 있습니다: 아스트로사이트(astrocytes), 올리고뇌세포(oligodendrocytes), 미크로글리아(microglia)입니다. 1. 아스트로사이트(astrocytes)란? 아스트로사이트는 중추신경계에서 가장 널리 분포.. 2023. 4. 6.
초등학생도 알기 쉬운 뇌과학 | 축삭(Axon)이란? (연구진행사항, 역할 등) 오늘도 뇌과학 용어에 대해서 알아봐요. 이번 글에서는 축삭에 대해서 정리해봤습니다. 알아보시죠? 축삭(axon) 이란? 축삭(axon)은 신경세포에서 정보를 전달하는 장기입니다. 뉴런의 핵에서 시작되는 축삭은 수상돌기로부터 나와 다른 뉴런과 연결되는 부분인 시냅스(synapse)에 이르는데, 이 과정에서 전기 신호가 화학 신호로 변환되어 정보를 전달합니다. 축삭은 수상돌기와 달리 미엘린을 감싸고 있을 수도 있고, 감싸여 있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축삭을 감싸는 미엘린은 신경전달 속도를 높여주고, 축삭의 전기 신호가 지나가는 속도를 빠르게 합니다. 미엘린은 지방질로 이루어져 있어 전기 신호가 빠르게 전달되도록 해줍니다. 따라서 미엘린이 감싸여 있는 축삭은 신경전달 속도가 더 빠르고, 길이가 긴 축삭일수록 .. 2023. 4. 6.
초등학생도 알기 쉬운 뇌과학 | 수상돌기 (dendrite)이란? (연구진행사항, 역할 등) 초등학생들도 쉽게 알 수 있는 뇌과학 용어들을 알려드리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수상돌기에 대해서 정리해봤어요. 수상돌기(dendrite)란? 수상돌기(dendrite)는 신경세포의 한 부분으로, 뉴런에서 입력 신호를 받아들이고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수상돌기는 세포체(cell body)에서 분기하여 나온 가지 모양의 구조로, 뇌에서 수상돌기는 다른 뉴런으로부터 신호를 받아들이는 역할을 하게 됩니다.\ 수상돌기는 어떻게 생겼나? 수상돌기는 뉴런의 가지 형태를 갖는 부분으로, 뉴런의 세포체로부터 분기하여 수상돌기가 형성됩니다. 수상돌기는 뉴런의 세포막으로 둘러싸여 있는 작은 돌출 부분입니다. 수상돌기는 수상암초(수상표면)와 많은 섬유들을 갖고 있으며, 이러한 구조적 특징으로 인해 .. 2023. 4. 6.
초등학생도 알기 쉬운 뇌과학 | 미엘린(Myelin)이란? 초등학생들도 쉽게 알 수 있는 뇌과학 용어들을 알려드리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미엘린에 대해서 정리해봤어요. 미엘린(Myelin) 이란? 미엘린은 중추신경계(중심적인 신경계, Central Nervous System, CNS)에서 뉴런의 신경섬유를 둘러싸고 있는 지방질로 된 몸체입니다. 뉴런의 신경섬유를 둘러싸고 있는 미엘린은 신호 전달과 보존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미엘린이 존재하지 않으면 신경섬유에서 신호가 원활히 전달되지 않아 중추신경계 이상을 유발하는 질환들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미엘린(Myelin)을 구성하는 것은? 미엘린은 지방질인 척추층(steroid)을 중심으로 한 화합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러한 지방질들은 두개의 끝단에서 수소를 분리하여 전기적으로 상반된 것으로 만들어져.. 2023. 4. 6.
초등학생도 알기 쉬운 뇌과학 | 활동잠재력 (Action potential) 이란? (정의, 역할) 활동잠재력(Activation Potential)이란? 활동잠재력(Activation Potential)은 뉴런이 신호를 전달하는 전기적인 화학 반응을 일으키기 위해 필요한 최소한의 자극을 말합니다. 뉴런은 이러한 자극을 받으면, 수용체를 통해 신호를 받아들인 후, 화학전위(chemical gradient)를 만들어 전기전도체인 세포막으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생성합니다. 이러한 전기적 신호를 통해 뉴런은 다른 뉴런과 연결되어 뇌에서 정보를 처리하고 전달합니다. 활동잠재력과 뉴럭의 상관관계는? 그리고 활동잠재력은 뉴런의 전기적 특성과 화학적 특성에 영향을 받습니다. 뉴런은 수용체에 대한 감수성, 수용체의 결합력, 이온 채널의 개방과 폐쇄 등을 통해 자극에 대한 반응을 조절합니다. 이러한 조절은 뉴런의 교차막.. 2023. 4. 6.
초등학생도 알기 쉬운 뇌과학 | 신경전달물질 (Neurotransmitter)의 정의와 종류 신경전달물질 (Neurotransmitter)이란? 신경 전달 물질은 뇌의 뉴런에서 생성되는 화학 물질이며 뉴런 간의 신호 전송을 담당합니다. 그들은 뇌 전체에 중요한 정보를 전달하고 뇌의 다른 부분이 서로 통신하도록 돕는 작은 메신저와 같습니다. 그리고 각각 고유한 기능을 가진 다양한 유형의 신경 전달 물질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도파민은 즐거움, 보상 및 동기 부여와 관련된 신경 전달 물질인 반면 세로토닌은 기분 조절 및 수면과 관련된 신경 전달 물질입니다. (대표적인 신경전달물질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확인바랍니다) 뉴런이 신경 전달 물질을 방출하면 시냅스라고 하는 작은 틈을 가로질러 이동하여 수신 뉴런의 수용체에 결합합니다. 이것은 신경 전달 물질의 유형과 시냅스의 위치에 따라 수신 뉴런을 흥분시키.. 2023. 4. 5.
초등학생도 알기 쉬운 뇌과학 | 시냅스 (Synapse)의 정의,뇌손상에 미치는 영향,구성요소 시냅스란? 시냅스는 두 뉴런(신경 세포) 사이의 작은 간격 또는 공간으로 서로 통신할 수 있습니다. 신호가 한 뉴런에서 다른 뉴런으로 전송되어 뇌와 신경계가 제대로 기능할 수 있도록 하는 곳입니다. 시냅스가 어떻게 작동하는지 이해하려면 뉴런이 작동하는 방식에 대해 조금 아는 것이 중요합니다. 뉴런은 몸 전체에 정보를 전달하는 역할을 하는 신경계의 세포입니다. 세포체, 수상돌기, 축색 돌기의 세 가지 주요 부분이 있습니다. 세포체는 세포가 살아 있고 기능하도록 유지하는 핵 및 기타 중요한 구조를 포함하는 뉴런의 일부입니다. 수상돌기는 다른 뉴런으로부터 신호를 받아 세포체로 전달하는 작은 가지 모양의 확장입니다. 축삭은 세포체에서 다른 뉴런이나 근육으로 신호를 전송하는 길고 얇은 확장입니다. 뉴런이 발화하면.. 2023. 4. 5.
초등학생도 알기 쉬운 뇌과학 | 뉴런(Neuron)의 정의,뇌손상에 미치는영향,구성요소와 유형 뉴런 (Neuron)이란? 뉴런은 신경계를 구성하는 인체의 특수 세포입니다. 그들은 뇌와 신경계의 기본 구성 요소이며 몸 전체에 정보를 전달하는 역할을 합니다. 뉴런은 매우 작으며 모양과 크기가 다양합니다. 그리고 뉴런은 뇌, 척수 및 몸 전체에서 발견됩니다. 뉴런의 구성요소 3가지에 대해 주요부분은 1) 세포체, 2) 수상돌기, 3) 축삭으로 세 가지로 구성됩니다. 세포체에는 세포의 조절 센터인 핵이 있습니다. 수상돌기는 세포체에서 뻗어 나와 다른 뉴런으로부터 정보를 받는 작은 가지입니다. 축삭은 세포체에서 연장되어 세포체에서 다른 뉴런이나 근육으로 정보를 운반하는 길고 가는 섬유입니다. 뉴런은 어떤 활동을 할까요? 뉴런은 신경 전달이라는 과정을 통해 서로 통신합니다. 뉴런이 다른 뉴런으로부터 정보를 .. 2023. 4. 5.